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세금 3.3% 계산기, 아주 쉽게 이해하기

by 미스터똘프 2021. 11. 22.
반응형

세금은 나라에 내는 소득세입니다.

나라는 여러가지 형태의 세금을 걷어

나라의 모든 운영에 활용하게 되죠.

 

세금 3.3%를 내는 직군은

총 4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일용직 근로자, 근로자, 프리랜서

그리고 아르바이트

일용직 근로자는

근로계약이 1일인 경우이고

근로자는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노무를 제공하는 자를 말하며

프리랜서는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고 일정한 조직에

전속되지 않는 사람이며

아르바이트는 임시로 일하는 일

혹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위 4개 부류는 3.3% 세금을 냅니다.

 

3.3%=사업소득세3.0%+지방소득세0.3%

연말정산 시기도 일반 근로자는 연말,

3.3%의 경우는 다음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합니다.

 

연말정산 행위는 나라에서

받은 세금 중 중복, 누락된 금액을

돌려주거나 받기 위한 제도로써

신고를 해야 세액공제를 받습니다.

 

특히 프리랜서, 아르바이트가 낸

세금 3.3%의 경우는

사업소득, 근로소득, 기타소득으로

처리되며 3가지 모두 종합소득세이지만

각각 세금 처리방식이 다릅니다.

 

[사례로 보기]

프래랜서 A씨 계약금액 : 100만원

원천징수세율 : 3.3%

원천징수세금 : 33,000원

실제 수령금액 : 967,000

 

 

세금3.3%계산기?

 

세금 3.3%에 대한 개념과 계산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딱 3.3%만을 계산해주는 계산기는 없다고

보시면 되고 아래와 같은 간단한 공식으로

쉽게 실제 나의 수령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급금액 - (지급금액×3.3%) = 실수령액

 

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가 일시적으로 

외주작업 혹은 근로를 제공했을 경우,

받기로 계약한 금액을 기준으로

그 금액에서 3.3%를 곱해주어 나온 만큼

전체 지금금액에서 빼주면 실수령액입니다.

 

간단한 세법이므로 스마트폰이나 계산기로

두드려 보시면 누구나 확인이 가능합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