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후베이성 우한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로 연일
확진자가 증가하며 만명 수준 이상으로 늘어난 가운데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60여 개국은 중국인 금지와
중국 항공편 금지 등 강력한 대응에 나섰습니다
그런데 바로 인접국가인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이상하리만치
조용한 분위기여서 언론이 알아보니 기막힌 상황이 벌어집니다
동남아 낙후된 인식?
인도네시아는 보건부 장관이 "그냥 충분히 먹고 움직이면 걱정할
필요 없다"고 호언장담하는가 하면
캄보디아 훈 센 총리는 마스크는 괜한 공포분위기를 조성한다며
마스크를 쓰면 누구든 기자회견장에서 쫓아내겠다고 소리쳤습니다
지난 1일 중국 외 국가로는 처음으로 사망자가 나온 필리핀
대통령은 "중국 본토 방문을 금지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니니다
미얀마의 경우는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지난 31일 첫번째 의심사례가
나왔음에도 검사장비가 없어 아직 확진자 여부를 알수조차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얀마 고위 관료들은 민간 요법을 장려하면서
페이스북으로'중국 정부가 양파를 최대한 많이 섭취하라고 했다"고
전하며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바이러스 확산 구멍
동남아시아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강경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이유는
대중 무역의존도가 기형적으로 높고 중국 관광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NYT 뉴욕타임즈는 이에 대해 "동남아는 중국 이외 지역으로는 가장 많은
코로나바이러스 환자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정부는 무시하고 있다'면서
초강대국인 중국을 불쾌하게 만들 것을 우려해 전염병 위협을 의도적으로
경시함으로 바이러스가 더 빠르게 퍼질 수 있는 구멍이 되고 있다고 경고합니다
특히 전염병의 경우, 선진국보다 의료시스템이 취약한 개발도상국에서는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목숨을 잃는 환자들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전합니다
하지만 동남아 국가들은 중국 눈치보기에 급급한 사이, 이 지역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빠르게 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캄보디아나 라오스 등 국민소득이 낮고 언론의 자유가
통제된 나라일수록 확진 사례가 거의 없다는 점입니다
캄보디아는 현재 수만명의 중국 노동자가 머물고 있고 설 연휴 이후
약 3000명의 중국인들이 입국했으나 지금까지 확인된 감염 사례는
단 1건에 불과합니다
중국과 같이 이들 나라들도 정부 차원에서 환자 수를 은폐하고 있다는
의혹이 불거지는 이유입니다
각 국 중국 금지령 확산
세계보건기구(WT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도 중국 여행과
교역을 반대한다고 밝혔지만 각국은 반대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시아, 미주, 유럽, 중동 각국의 항공사들은 중국과의 항공편을 중당
하거나 운항횟수를 줄이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미국인들에 중국을 떠나라고 강제명령을 검토중에 있으며
러시아는 바이러스 확산우려에 극동지역 중국가의 국경을 패쇄했습니다
베트남항공도 다음 주부터 중국을 오가는 항공편을 중단키로 결정했고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비자발급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쿠웨이트 또한 자국민들에게 중국 여행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란도 중국행 항공편을 전면 중단한다고 언론을 통해 보도했습니다
'문화연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에서 최초 심은경 여우주연상 수상 (0) | 2020.03.11 |
---|---|
'기생충' 오스카 작품상 등 4관왕 차지 (0) | 2020.02.10 |
세계TOP 테슬라, 한국의 배터리 선택 (0) | 2020.02.02 |
우한 폐렴 억제 효과 '해조류' 한국서 발견 (0) | 2020.02.01 |
세계 최강 미 전술장비 삼성전자가 만들고 있다 (0) | 2020.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