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균과 바이러스 어떻게 다를까요?

by 미스터똘프 2020. 2. 25.
반응형

 

요즘 제일 무서운 말이 뭔지 아시죠? 코로나!
지하철 안에서 누군가 헛기침만 해도 사람들이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영화관이나 백화점처럼 사람이 많은 곳도

피하게 되고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교회도 초비상입니다 
마스크 끼고, 목도리도 두르고 눈만 보이게 다니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만큼 불안해서겠죠 

코로나 바이러스가 뭔지 시민들의 일상까지

바꾸고 있습니다
그런데 바이러스가 일종의 세균인가요?
코로나 세균이라고 하진 않잖아요?
바이러스와 세균은 어떻게 다른 걸까요?
세균은 생물체 가운데 가장 미세하고 하등에

속하는 단세포 생활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독립된 하나의 존재로 스스로 증식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세균의 영어 이름이 박테리아죠
하지만 바이러스는 혼자서는 살 수 없어서

살아 있는 세포에 기생합니다
다른 생물의 세포 속에 들어가서 그 세포가

가지고 있는 재료를 마음대로 쓰면서 자신의

유전물질 DNA, RNA를 집어넣어 복제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바이러스가 들어간 세포는 망가지고

우리 몸에는 병이 생기는 거죠


예를 들어 만약 바퀴벌레가 보인다면 어떻게 할까요?
얼른 약을 뿌려서 바퀴벌레를 잡겠죠?
그러면 바퀴벌레에 있는 세균은 없어질지 모르지만,

바퀴벌레 속에 있는 바이러스는 쉽게 죽일 수

없다는 거죠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 좀 이해되시나요?
또 하나 중요한 차이점
세균은 세포이기 때문에 일정한 모양을 가집니다
그건 단백질과 유전자 정보가 규칙을 가지고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해 백신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죠
그런데 바이러스는 세포에 기생한다고 했잖아요

그러니 구조도 간단하고 그만큼 변종도 쉽게

일어납니다 계속 돌연변이가 생기니까 예측이

불가능하고 세균보다 정복하기가 어려운 이유입니다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도 변종 때문에 얼마 못 가서

무용지물이 됐다고 합니다

아직까지 현대 과학이 감기를 정복하지 못하는

이유도 바로 예측하기 어려운 바이러스 때문입니다
바이러스에 맞춰 백신을 만들어 놓으면 막 바뀌고 또

바뀌고 그러니 돈이 안 되니까 제약 회사들이

바이러스 연구나 백신 개발 투자는 망설인다고 합니다 

컴퓨터 키보드, 핸드폰은 대표적인 세균 온상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 중국 당국이 공표한 지

한 달도 안됐는데 감염증 환자가 2003년 사스 사태 때의

감염자 수를 추월했습니다

지금 최고의 방법은 예방과 청결이라고 합니다

30초이상 수시로 손씻기 잊지마시고

마스크는 꼭 착용하시고 사람들이 많은 곳은 되도록

피하시고 몸이 피로하지 않도록 규칙적이고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